원전해체 주요 공정별 유망기술 발굴·개발, 산업 네트워크 구축 위한 협력 방안 논의
1차 CASK, 2차 절단, 3차 제염 계획

원전해체산업이 부산 지역 중소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전망이다.

부산시(시장 오거돈)는 지난달 26일 오후 2시 30분 부산테크노파크 소회의실에서 ‘부산 원전해체산업 기술협의회’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기술협의회는 지난해 1월 발족한 ‘부산 원전해체산업 육성협의회’의 제언에 따라 지역 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실질적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구성됐으며, 해체 주요 공정별 유망기술을 발굴·개발하고, 산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앞으로 공정별 참여기업을 확대하고, 회의 주제별로 탄력적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이번 1차 회의에는 원전해체분야 지역기업과 기계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등 지역 연구기관, 대학 및 부산상공회의소와 산업단지 공단 등 범지역 산·학·연·관 15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사용후핵연료 이송보관용기(CASK) 산업 육성’을 주제로 원전해체 관련 유망 산업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CASK 기술개발 현황과 주요 품목 제작 공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향후 국산화할 수 있는 지역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CASK 최종 조립은 두산에서 하지만 부품은 협력 업체에서 제작, 공급해줘야 한다”며 지역 기업과의 상생을 강조했다.

국내 연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원전의 CASK 수요는 5만6000t으로 시장규모는 26조원으로 추정된다.

시는 이 분야가 부산의 뿌리산업인 철강·조선 관련 기업들이 특화될 수 있는 분야로 앞으로 지역기업들이 선도적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시장을 선점할 경우, 신규 일자리 창출과 해외시장 진출까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부산시는 원전해체산업 거점도시가 될 수 있도록 이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오는 8월에는 ‘절단분야’, 10월에는 ‘제염 분야’ 등 원전해체 공정별 지역기업과의 기술협의회를 계속 진행하며 산·학·연·관 협력 체제를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부산시 김성근 팀장은 “2024년 사용후 핵연료가 포화상태에 이르기 때문에 CASK 용기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관련 단조 기술을 부산의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다”며 “원전해체산업은 부산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