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소 연료·환경설비 운전 분야와 경상정비 분야 노동자들의 공공기관 정규직화 논의를 위한 통합 노사전 협의체가 ‘난항’을 겪고 있다.

각각 두 차례 회의를 가졌지만 기관(발전사) 노조와 민간정비사 사측의 협의체 참여 방식을 놓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본격적인 논의는 시작도 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도화선이 타들어 가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어느 순간 급격하게 논의가 진전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다른 쪽에서는 도화선이 얼마나 길게 늘어져 있는지 끝도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는 말도 나온다.

정부의 정규직화 정책이 나온 뒤 발전공기업에서 각각 진행하던 노사전 협의체를 통해 형성된 공감대나 이뤄놓은 합의가 통합 협의체로 이어진다면 논의에 탄력이 붙을 수 있겠지만 서로 다른 다섯 개의 협의체를 하나로 모아 이어가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협의가 길어질수록 모두가 ‘패자’가 될 확률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노사전 협의체가 진행되면서 발전공기업은 물론이고 연료·환경설비 운전과 경상정비를 담당하는 업체, 그리고 관련 업체 근로자들까지 모두가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당장 협력업체들은 회사 경영을 계속할 수 있을지부터 걱정하고 있다.

공공기관 정규직화가 결정되고 핵심인력이 공공기관으로 편입될 경우 공공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기업은 간판을 내려야 할 처지에 놓이기 때문이다.

근로자들도 미래가 불확실한 것은 매한가지다.

공공기관 정규직화가 이뤄지더라도 모든 인력이 전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대상에 속하지 않는 근로자들은 ‘고용이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일단은 대상에 속한 근로자들도 전환 과정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노사전 협의체 구성원은 관련 업계 종사자들을 대표하고 있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관련 논의에 속도를 내야 한다.

‘물 들어올 때 노 젓자’는 계산으로 필요 이상을 요구하는 대신 주장할 것은 주장하고 양보할 것은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두 분야의 통합 노사전 협의체 모두가 산업계와 노동계 양쪽에서 박수받을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해내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