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A, 동향 분석 보고서에서 실행계획 없는 정부, 지자체 지적
다양한 분야서 활용하는 선진국과 대비, 지원사업 활성화해야

일상에서 버려지거나 소모되는 에너지를 회수해 전력으로 활용하는 에너지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산업에 대해 정부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발표한 ‘에너지하베스팅산업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주요 정부부처, 지자체에서 에너지하베스팅 산업 활성화를 위해 별도로 세운 기본계획, 실행계획 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에너지하베스팅과 밀접하게 연관된 에너지, IoT 관련 정부부처나 지자체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발간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에너지하베스팅 소자와 관련된 핵심 기술을 선정해 놓고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제대로 된 계획은 세우지 않은 것이다.

에너지하베스팅은 태양광, 바람, 파도, 퓨어셀(Fuel Cell) 등 주변 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한 뒤 온도변화, 기계 진동 충격 등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자기장, 전자기파 등을 사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에너지하베스팅은 친환경 에너지 수요를 충족할 수 있고 나아가 최근 초소형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센서들에 독립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에너지하베스팅을 건설(빌딩자동화, 역사 유적 관리), 교통(교통사고 예방, 철도시설 관리), 공공(하천 범람 감시, 스마트 범퍼), 소비(웨어러블 디바이스 셔츠, 충전용 신발), 의료(이식용 센서, 스마트 주사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군사기술의 하나로써 에너지하베스팅 기술개발에 대한 정책지원을 오래전부터 이어오고 있는데,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는 관련 연구를 위한 보조금까지 지원하고 있다.

유럽, 중국에서는 2000년 후반부터 IoT 실현을 위한 에너지하베스팅 관련 정책 지원을 펼치고 있으며, 일본 또한 2016년 발표한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슈퍼 스마트사회 실현 기반 기술로 IoT가 거론되며 본격적인 에너지하베스팅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이처럼 글로벌적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하며 에너지하베스팅 산업이 확산되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낮은 에너지 전환율과 고비용 등의 벽에 가로막혀 지난 몇 년간 시장 성장이 정체돼 왔다.

이로 인해 지난해 에너지하베스팅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4475억원(3억8000만달러)인 반면 국내 시장은 2310억원으로 두배 가까이 차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KEA는 "저렴하면서 높은 전환 효율성을 가진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을 개발할 경우 IoT 확산을 촉진하고, 기술과 수요가 서로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정부부처 관련 정책에, 단기적으로는 지자체 정책 사업에 에너지하베스팅 관련 지원 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