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팀 이근우 기자.
산업팀 이근우 기자.

얼마 전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로 인해 수소차가 때 아닌 홍역을 치뤘다.

정부와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연구실험시설용 수소탱크와 수소차, 수소충전소는 원리부터 전혀 다른 별개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국민적 불안감을 쉽게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수소차뿐만이 아니다. 일각에서는 친환경차 양대산맥인 전기차(EV) 역시 안전 문제에 있어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1일 현대자동차의 ‘코나EV’가 제주도 평화로에서 정차한 채 작업 중이던 트럭과 부딪혀 화재가 발생해 전소됐다. 첫 전기차 화재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다행인 점은 차량 자체 결함이나 핵심 부품인 배터리가 원인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나 만약 전기차를 정비하거나 교통사고 처리하는 도중 인명피해가 나왔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전기사고의 경우 시각, 청각, 후각, 촉각으로는 확인이 불가한 데다 직접 감전재해는 물론 감전에 의한 추락, 누전에 의한 기기오작동 및 화재 등 2차적인 피해가 빈번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연도별 감전사고에 의한 사상자수는 매년 500~600명에 이른다. 감전사는 전체 산업 재해 요인 가운데 4번째다. 빈도는 낮으나 사망률이 무려 5.15%에 달한다.

이 같은 전기의 위험성이 대두되자 국내에서도 조금씩 전기 안전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덕분에 이비올(전기 안전 교육), 이빛컴퍼니(자동차 정비 교육), 한진GTC(소방), 새빛테크(전기 안전 장비) 등 관련 업체도 각광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외의 경우 전기차를 다루기 위해서는 고전압 안전 교육이 필수지만 국내는 아직 관련 법규나 교육, 장비 등 여건이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국내 전기차 사고가 발생하기 전 미연에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 지금부터라도 전기차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안전 장비를 갖춰 혹시 모를 사고를 막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