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지 디지털뉴스팀 기자.
정수지 디지털뉴스팀 기자.

조명업계의 가장 큰 화두는 단연 '스마트'다.

정부가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사물인터넷(IoT)센서로 도시 데이터를 수집해 시민 수요에 맞는 최적의 정책을 수립하는 스마트 행정을 확대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스마트화는 불가피한 요소가 됐다.

이에 따라 LED조명과 IoT기술을 결합한 커넥티드(Connected) 또는 네트워크(Networked) 조명, 즉 스마트조명이 핵심 사업으로 떠오르고 여기에 인간의 생체과학을 더한 인간중심조명(HCL·Human Centric Lihting)으로 그 기능과 영역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조명은 전통조명의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시장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춘 최적의 산업군임은 틀림없다. 한국에너지관리공단이 추산한 국내 스마트조명 시장 규모는 올해 1000억원 수준이지만 2025년 1조90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스마트조명산업발전협의체가 출범하고 국토부 등 대표 부처가 공동으로 스마트가로등 설치에 앞장서는 등 시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스마트가로등을 만들고 판매해야 하는 조명 기업들은 한 발짝 멀리서 관망하는 모양새다.

한 관계자는 "스마트가로등이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용도인지,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정확한 기준이 없는데 어떻게 만들으라는 건지 모르겠다"며 "스마트가로등의 실무 주체가 조명업체인지 통신업체인지도 분간이 안 가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스마트가로등을 위해 여러 가지 사업안을 두고 개별 업체들이 독자 기술개발에 나서기는 힘들다. 비용과 시간은 물론이거니와 향후 스마트가로등 표준이 만들어지면 말 그대로 '물거품'이 된다.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업체가 떠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더해 저렴한 중국산 제품에 밀리는 가격 경쟁력, 국내 기업들을 보호해 줄 제도가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될 만한 사업이 길을 못 찾고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스마트가로등 사업은 아직 시작 단계다. 따라서 사업의 성공여부, 문제점을 논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다. 그러나 시작부터 기준이 없다는 것은 속 빈 강정과 같다. 정작 실무자의 의견은 담지 못한 사업이 실무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까.

주사위는 던져졌다. 보여주기 위한 정책이 아니라 실무자와 머리를 맞대 기준을 세우고, 스마트시티와 스마트가로등 모두 중장기적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선구안이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