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는 지난 20일 북당진~고덕 HVDC 건설현장을 방문했다. 이달 기준 고덕 HVDC 1단계 공정률은 90%에 이른다는 게 관계자 설명이었다. 현장을 방문하니 막바지 주기기 설치 작업이 한창이었다. 제어케이블과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등 공사가 눈에 띄게 진행됐다.

이에 반해 북당진HVDV 1단계 공정률은 70%에 불과했다. 주기기 설치도 이번달에 겨우 시작됐다. 같은 시기 건설을 시작한 두 현장의 공정진행률이 이토록 차이나는 이유는 주민 민원에서 비롯된 당진시와 한국전력공사 간 법정 공방 때문이다. 북당진 HVDC 건설공사는 이같은 법정 공방으로 1년 6개월가량 지체됐다.

해당 사례처럼 송·변전 건설공사는 평균 2년가량 지연된다는 게 업계 통설이다.

공사가 늦어지는 주된 원인은 주민들이 가진 전자파와 철탑에 대한 거부감이다. 초고압 교류송전의 경우, 상대적으로 철탑 규모가 큰 만큼 주민수용성을 확보하는 게 쉽지 않다. 지중화 역시 주민수용성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전자파 논란이 다시 발목을 잡는다.

전자파 문제에 대한 시민 불안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 같은 불안이 왜곡된 정보에서 비롯됐다면 문제가 있다.

시민들은 송변전 건설 시 일상에 전례 없는 위협이 닥치는 것처럼 느끼지만, 실제 특고압선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에어컨,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보다 적다는 게 다수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특히 전력설비 전자파는 인체발암가능물질 2B등급으로 암 발생과 뚜렷한 인과관계를 찾을 수 없다는 게 전문가 해석이다. 젓갈, 코코넛오일과 같은 등급이며 과거 커피도 여기에 속했었다.

전력설비 건설 공사가 지연될 경우 사회가 떠안는 부담과 위험은 커질 수밖에 없다.

사회는 점차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인간이 생활에서 가장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에너지 중 하나가 전기이기 때문이다. 전기공급량 증가에 비례해 전력을 운반하는 송전선로도 이에 걸맞게 증설돼야 하는 건 당연한 이치다. 선로에 지속적으로 과부하가 걸릴 경우 대규모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고, 사회 전체가 큰 손실을 볼 수 있다. 병원, 소방, 공장 설비 등에 전기공급이 끊기면 시민은 생명과 안전, 재산권을 보장받기 어렵다.

전력설비에 대한 시민들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정부와 언론, 시민단체 등이 합심해 대대적인 홍보와 명확한 정보 전달에 힘써야 한다.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