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일에 승강기안전기술원이 공식적으로 문을 연다. 기존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서 진행하던 승강기 인증업무가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승강기안전공단으로 이전, 안전기술원으로 새롭게 탄생한다.

오는 28일부터 안전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승강기부품이 현행 12개종에서 20개종으로 늘어난다. 엘리베이터는 ▲개문출발방지장치 ▲구동기‧전동기‧제동기 ▲비상통화장치 ▲이동케이블 ▲출입문 조립체 ▲유량제한기, 로프 등 매다는 장치 등 7개 품목이, 에스컬레이터는 구동체인 1개 품목이 추가된다. 3년마다 비용을 들여 인증을 갱신해야 한다. 인증을 받지 못하면 앞으로 승강기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 승강기 기종에 따라 모델인증(또는 개별인증)도 받아야 한다. 업계에 따르면 모델인증 하나를 획득하는 비용이 대략 1억5000만원이다. 10개를 받는다고 하면 10억원을 훌쩍 넘는다. 부품에 대한 인증비용까지 합치면 제조사의 부담은 더욱 가중되는 셈이다. 특히 연간 생산대수가 많지 않은 중소기업일수록 경영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러한 중소기업을 위해 인증비용이 낮은 개별인증 제도를 시행한다지만 이마저도 부담이 된다는 게 승강기 중소업계의 지적이다.

인증비용은 고스란히 원가에 반영된다. 소비자가 구매하는 승강기 가격은 기존보다 더 올라갈 것이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대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저가수주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한다. 생산원가가 올라도 판매가에 반영이 될 수 없다는 얘기다. 결국 규모의 경제와 대량생산으로 인증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대기업과 그렇지 못한 중소기업의 양극화는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미 대기업과 외국계가 연간 국내에 설치되는 승강기의 80% 이상을 가져가는 구조에서 막대한 인증비용은 중소기업을 사지로 내몰 수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담당 부처인 행정안전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세워 국내 승강기 산업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