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ESS 화재조사 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서 1차 조사결과 공유
화재원인 4가지로 분류, 공식 조사결과는 5월 내 발표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특정할 수 없는 상황...정부 책임론 대두

ESS 화재사고 관련기업 비공개 간담회 개최 협조 공문
ESS 화재사고 관련기업 비공개 간담회 개최 협조 공문

최근 잇달아 발생한 ESS화재는 배터리와 시스템 제어, 시공, 설계, 운영관리 전반의 부실이 빚어낸 사고로 밝혀졌다. 사고는 ESS 시스템 전체와 구성요소 전반의 문제 때문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오면서 ‘피해자는 있지만 가해자는 특정할 수 없는’ 애매한 상황이 연출됐다.

안전에 대한 고려 없이 ESS 보급에만 혈안을 올린 정부 책임론이 강하게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과천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사고 유관기업들과 공유하는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는 잇따른 ESS 화재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학계, 정부기관, 인증기관 관계자 17명으로 구성돼 활동을 시작했다. 위원회는 유관업계 1대1 면담, 화재 사이트 실증조사 등 주 1회 이상 회의를 가지며 화재 원인을 조사했다.

조사위원회는 ESS 화재 원인을 ▲ESS 시스템 통합 제어 미흡 ▲배터리 외부로부터의 비정상적인 충격(전압, 전류 발생) ▲배터리 설계 미흡 ▲설치 및 운영관리 소홀 4가지로 분류했다. 그간 업계에서 원인으로 지목됐던 BMS, 외부서지, 설치 관리 미흡 등이 모두 담겨 있는 셈이다.

ESS 시스템 통합제어가 미흡했다는 것은 BMS, PMS 등이 서로 통합되고 통일된 시스템을 구성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제어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위원회는 이 때문에 외부서지를 잡아내지 못해 배터리가 견딜 수 있는 수준 이상의 스트레스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배터리 자체 설계 미흡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외부충격이 발생했을 때 배터리 자체의 보호장치가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배터리 자체에 퓨즈와 프로텍터가 구비돼 있지만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 보호장치로 충분한지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일정 배터리에 대해서는 셀, 모듈 자체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기본이 지켜지지 않은 시공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화재가 일어난 현장에서 부주의한 시공사례가 다수 발견되기도 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더불어 조사위원회는 ESS 화재원인을 5월 말에 공식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화재 원인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실증실험 등 물리적으로 검증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안한 것이다. 3월 말로 예정됐던 공식 발표가 두 달 이상 지체되면서 상반기 ESS 사업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한편 12일 열린 ESS 화재사고 관련기업 비공개 간담회에는 KT, 효성, LG화학, 삼성SDI, SK디앤디, 데스틴파워, 이맥스파워 등 유관기업들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조사위원회 관계자는 “사실 ESS 산업이 시작될 때부터 이런 모든 부분들을 하나하나 점검했어야 하는 게 맞다”면서 “이번 기회를 통해 원인을 이해하고 바로잡아 ESS를 이 나라의 주력사업으로 키워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