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전력 중개거래 시장이 지난해 12월 열린 후 첫 자원거래가 이달 이뤄졌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산자원(1MW 이하)을 중개사업자가 모집, 전력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소규모 중개거래 시장은 전력 산업 내 민간 기업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민간 사업자도 본격적으로 전력자원을 관리하고, 나아가 판매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이제까진 전력거래소와 한국전력공사만이 전력거래의 유일한 당사자였다.

그러나 중개거래 시장을 두고 마냥 좋은 말만 나오진 않는다. 현재로선 중개 시장에서 거래자들이 수익을 낼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취재 중 만난 모 기업 담당자 A는 기자에게 “기업이 직접 전력을 팔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시장은) 사실상 껍데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 B는 “중개사업자뿐 아니라 소규모 발전사업자들 역시 이익을 얻기 어려운 구조”라며 “(중개거래를 신청할)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은 전력거래소용 계량기를 따로 달아야 하는데 여기에 드는 돈은 누가 감당하냐”고 말했다.

이 같은 한계를 정부도 모르는 바 아니다. 앞서 산업부와 전력거래소는 올해 안에 소규모 전력중개거래시장 제도의 고도화를 꾀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중개거래를 통한 계통 편익은 얼마나 있을지, 이를 돈으로 추산한다면 얼마로 계산해야 할지를 제도화 하는 것이 간단한 일은 아닐 테다.

게다가 대다수의 소규모 사업자들은 전력거래소용 계량기(450만원 내외)보다 가격이 더 싼 한전용 계량기(250만원 내외)를 사용한다. 업계에선 수익 구조도 명확하지 않은 중개거래를 위해 전력거래소용 계량기를 설치할 발전사업자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 내다본다. 이런 장애물들이 하루 빨리 해결돼야 소규모 전력중개시장도 팥 없는 붕어빵, 앙꼬없는 찐빵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