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4’ 지난해 설치 대수 84.4% 기록
관급공사범위 확대 등 정부대책 필요

승강기업계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시장점유율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따르면 현대엘리베이터,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 미쓰비시엘리베이터 등 업계 ‘빅4’의 지난해 승강기설치대수는 4만2180대로 84.4%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에 설치된 승강기는 모두 5만25대다.

중소기업은 지난해 불과 7845대(15.7%)만 설치했을 뿐이다. 전년(7981대)과 비교하면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중소기업 중 가장 많이 승강기를 설치한 곳은 금영제너럴(839대)이다. 트라비스엘리베이터(517대), 누리엔지니어링(397대), 동남엘리베이터(353대)가 그 뒤를 이었다.

승강기 메이저기업들의 연간 신규설치 시장점유율은 지난 10여년간 약 80% 수준을 유지해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시장점유율 비중이 연간 80:20으로 고착화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들 4사의 시장점유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16년도 82.3%, 2017년도 82.5%, 2018년도 84.4% 등 최근 3년간 시장점유율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비중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현재 국내에 승강기 완제품을 만드는 중소기업은 약 200개에 이르지만 이들 기업의 전체 시장점유율은 연간 10~15%에 머물고 있다. 대기업은 쉰들러를 포함한 5개사가 85%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상위 20%가 전체 부의 80%를 창출한다’는 경제학 이론인 ‘파레토 법칙’을 훨씬 상회하는 결과다. 상위 2%가 전체 85% 이상을 가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85%의 절반은 외국계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그나마 중소기업들이 이들 메이저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버틸 수 있는 것은 공공시장 덕분이다.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를 통해 LH,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등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의 판로를 일정부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현재 승강기는 중소기업자간 경쟁품목(분속 105m 이하)으로 지정돼 공공조달 시장에서 대기업과 외국계기업의 참여가 제한돼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위협받고 있다.

3년마다 지정되는 중기간 경쟁제품에 일부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의 품질과 서비스 등을 문제 삼아 매번 지정해제를 요구하고 있어서다. 더구나 지난해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관급공사금액이 기존 20억원에서 40억원 이상으로 올라 갈수록 문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은 중소기업 진흥을 위해 정부가 판로확대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재복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대기업과 외국계가 장악한 국내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게 정부가 나서 승강기 공공시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도 품질과 서비스가 우수한 곳이 많은데 일부만 보고 판단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해다.

이어 “관급공사범위를 확대하고, 특히 6층 건물 이하의 승강기(분속 60m 이하)는 중소기업 전용제품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