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Biz팀 박정배 기자
에너지Biz팀 박정배 기자

매년 겨울이 되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행사가 있다. 연탄 배달 봉사활동이다. 지방자치단체, 기업, 프로야구단, 연예인 등이 연례행사처럼 얼굴에 까만 석탄재를 묻혀가며 어려운 소외 이웃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생활에 꼭 필요한 에너지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씁쓸함이 있다. 가장 싼 에너지인 연탄조차 타인의 동정심을 통해 얻어야 하는 서글픈 현실이다.

연탄을 배달하는 이들은 대대적으로 착한 마음을 홍보한다. 하지만 에너지 소외 이웃은 그들의 마음을 홍보하는 데 필요한 수단이 아니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의식주 가운데 주(住)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이들을 동정심이라는 포장 아래 방치하는 것은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 심지어 연탄은 꽤 위험한 에너지기도 하다.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에너지 공유경제의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할 때다. 각 개인 혹은 가정에서 책임지던 에너지 마련 대책을 공유경제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이다.

지난해 여름 대한민국에 유례없는 폭염이 찾아왔을 때 정부는 이를 재난으로 규정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기요금 누진제를 완화하는 등의 대책 수립을 지시한 바 있다.

하지만 비싼 전기요금이 조금 저렴해진다고 해도 섣불리 에어컨을 틀지 못하는 이들이 존재했다. 어쩌면 이들은 집에 에어컨을 설치하지도 못해 선풍기 혹은 부채, 찬물로 견뎌야 했을지도 모른다.

이 같은 에너지 소외 이웃을 위해 제시된 방안이 공유경제다. 지자체의 유휴 실내 시설에 주민을 초청해 대형 냉방시설의 혜택을 접하도록 하는 아이디어다. 각 가정의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어 우선 좋고 부가적으로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도 있다는 제언이다.

이 같은 아이디어는 겨울철이라고 해서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학교 강당, 체육관 등을 따뜻하게 데우고 난방비가 아쉬운 주민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면 그것이 바로 공유경제와 진배없다.

혹시 ‘가난한 사람은 집에서 쉴 형편도 되지 말라는 것이냐’는 반론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혹한기 또는 혹서기 내내 공용 시설에서만 머물러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조금이라도 에너지 비용을 아끼는 데 공적인 비용을 투입하자는 제안이다.

단순히 몸을 뉠 공간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곳에서 마음도 즐거워질 문화행사를 병행하면 어떨지 싶다. 공유경제는 많은 이들에게 생각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