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훈·김주영 교수 공동연구팀

접을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Perovskitie LEDs)’.
접을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Perovskitie LEDs)’.

국내 연구진이 선명한 색을 구현하는 광학재료인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로 유연성이 뛰어난 발광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소재공학부 송명훈·김주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접을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Perovskitie LEDs, 이하 PeLED)’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PeLED는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내는 반도체인 LED의 일종이다. 이 소자는 전기를 받아 빛을 내는 활성층으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사용하는데 있어 전자이동도가 높고 색순도가 좋으며 색조절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 PeLED는 금속 전극의 한계로 유연성이 낮고 불투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극으로 투명하고 유연한 ‘은 나노와이어’와 전도성 고분자를 활용했다. 또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해 전자가 더 잘 이동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소자 성능을 높였다.

그 결과 새로운 PeLED는 기존 대비 투명도가 50% 수준(반투명)으로 높아졌고, 2.5㎜ 굽힘 곡률에서도 발광 특성을 유지했다.

굽힘 곡률은 소자 성능이 유지되는 휘어짐 정도를 나타낸다. 숫자가 작을수록 유연하다는 뜻이며 2.5㎜ 수준은 절반으로 접어도 성능이 유지되는 정도다.

이번 연구는 PeLED의 기계적 물성을 구체적으로 측정한 기법으로도 주목 받고 있다.

PeLED 제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구성 재료를 미세하게 잡아당기거나 누르면서 기계적인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 방식(PeLED 전체 소자를 반복적으로 굽혀 나타나는 효율변화로 유연성 측정)보다 훨씬 구체적인 기법으로 평가된다.

새로운 측정기법으로는 PeLED 구성 재료의 탄성한계를 이용해 소자의 유연성을 평가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게 소자의 효율저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김주영 교수는 “이번 연구로 PeLED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유연성 소자를 더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며 “이 기법을 다양한 조성의 페로브스카이트 연구에 적용해 PeLED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명훈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는 우수한 전기·광학적 성능 덕분에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소재”라며 “이번 연구로 투명성과 유연성에 대한 약점을 극복한 만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송명훈·김주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접을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를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송명훈·김주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접을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를 개발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