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이 불자 주위에선 벌써부터 올겨울 한파를 걱정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 해빙면적이 줄어들면서 극지방의 차가운 공기를 막아주는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반구에 또다시 한파가 찾아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과서나 스마트폰 속 사진에서만 보던 지구온난화가 현실에서 펼쳐지고 있다.

이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해외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가 진행중이다. 신재생에너지 가동률 100%를 약속하는 RE100 캠페인에 구글, 애플 등 전세계 144개 회사들이 동참하고 있다. 특히 애플은 본사 태양광 패널 설치는 물론이고 대대적인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실시로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설비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국제 재생 에너지 기구(IRENA)가 지난해 5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세계적으로 약 200여개 업체가 전력 소비량의 50%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

국내에도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태양광 시장이 급성장하는 등 기업들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계획에 발맞춰 첫 걸음을 내딛은 대한민국 기업들에게 재생에너지 조달률 50%는 갈 길이 멀게만 느껴진다.

재생에너지 공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간단하다. 태양광 패널, 풍력발전기 등을 설치해 그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에게 신재생에너지 설비 투자 비용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고가의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물론, 공장 루프톱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는 것 조차도 수억원의 비용은 기본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공장에 1MW 용량의 태양광 설비와 2.5MW 용량의 ESS를 설치한다고 가정했을때 약 30억원 가량의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은 이윤 및 재정 상태를 이유로 신재생설비 투자를 망설일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우선적으로 추진할 대안은 있다. 신재생에너지로 깨끗한 전력을 생산하기 앞서, 우선 사용 중인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절약하는 것이다. 전력 수급 비상시 전력 사용량을 줄여 최대수요를 안정화하는 ‘전력수요반응제도’를 통해서 이를 실천하면 된다.

2014년 국내에 도입된 본 제도를 통해 현재 4GW(원전 4기에 해당)에 이르는 전력이 일시에 조정될 수 있다. 약속한만큼의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회사라면, 국내 대기업부터 소형 공장에 이르기까지 누구든 이 제도에 참여할 수 있다. 큰 투자 비용 없이 탄소배출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전력수요반응제도를 통해 우리 기업들도 손쉽게 친환경 행보를 보여줄 수 있다. 세계적인 컨설팅 기관인 네비건트 리서치의 미국 전력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전력수요반응제도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2%까지 감축할 수 있다고 한다.

지구온난화를 피부로 느끼고 있는 오늘, 깨끗한 환경을 위한 기업의 노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듯 많은 기업이 홈페이지 및 광고 전면에 ‘초록색’ ‘푸른 숲’ ‘파란 하늘’ 등을 내세운다. 이제는 문구와 색깔로 친환경을 호소하기보다 행동과 실적을 통해 진정한 친환경을 증명해야 할 때다.

에넬엑스코리아( Enel X Korea)김형민 대표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