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 실시된 한전의 전략량계 연간 단가입찰이 치열한 개별경쟁이 펼쳐지면서 예상한 대로 관련 업체 모두가 '손해'를 보는 것으로 끝나고 말았다.

에너지밸리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역제한 물량의 경우 낙찰률 폭락에 발주물량 감소까지 겹치면서 지난해 369억원에 달했던 총 낙찰금액이 올해는 107억원에 그쳤다.

낙찰여부와 관계없이 전력량계 생산업체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으로는 부족할 지경이다. 업체 관계자들은 한숨과 탄식을 내뱉고 있다. 낙찰업체들은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물량을 확보하지 못한 업체들은 업종 전환까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는 35개 업체가 2개의 조합을 구성, 입찰에 참여하면서 88%~98.7%라는 높은 낙찰률을 기록했다. 협력체제가 제대로 가동된 것이다.

하지만 올해는 물량 배정을 둘러싸고 이견이 노출되면서 업체별로 입찰에 참여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일부 업체들이 개별경쟁을 통해 보다 많은 물량을 확보하려 했기 때문이다. 결과는 9개 업체가 지난해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낙찰금액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률이 폭락한 데다 발주물량도 30% 가량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업체들이 앞다퉈 낙찰단가를 내리는 바람에 모두가 손해를 보는 결과로 귀결됐다.

한전이 에너지밸리에 기업들을 유치하면서 혜택을 주기 위해 전체 발주물량의 20%를 이들 기업에 배정하고 있지만 아무 도움도 되지 못했다. 입주기업들 입장에서는 이전비용만 부담하고 손해만 잔뜩 본 셈이다. 하지만 해당 기업들이 선택한 ‘경쟁’이 주요 원인이라는 점에서 ‘자업자득’이란 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는 협력의 극적인 효과를 얻어낸 반면 올해는 경쟁의 폐해가 단적으로 드러났다.

관계자들은 업체들이 상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선의의 경쟁과 상대를 배려하는 협력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전만 쳐다보는 현재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사업구조 다각화 등을 통해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