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PCS 기준 용도별 ESS 구축 예상 도표 <출처></div>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
한국 PCS 기준 용도별 ESS 구축 예상 도표 <출처>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

500kW 이하 중·소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키우기 위한 맞춤형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미국 신재생에너지 리서치 전문 기관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가 발표한 2030년 ESS 전망에 따르면 한국은 2030년까지 산업체 및 상업(C&I) 분야에서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도 이 분야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ESS 특례요금제도 일몰이 다가오면서 태양광연계 ESS 시장으로 수요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500kW 이하 중·소용량 ESS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ESS 업계는 중·소용량 ESS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는 수익성이 너무 낮아 소비자를 유인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우리나라는 보급 속도나 규모면에서 세계 ESS 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지만 중·소용량 분야는 미진한 실정이다.

PCS 제조기업 A사는 “대용량이나 중·소용량이나 ESS는 들어가는 비용 차이가 크지 않다”면서 “초기 설치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투자비용을 빨리 회수할 수 있는 대용량이 아니면 굳이 ESS를 설치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ESS 기업 B사는 “C&I 분야 ESS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면서 “수익성이 있어야 국내에서 시장이 형성돼 대량 생산이 가능해 가격 경쟁력이 올라가고, 실적이 쌓여야 해외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ESS 업계에서는 수익성 확보를 위해 REC 차등 부여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소용량 ESS에 더 높은 REC를 부여해 수익성을 만들고 시장 활성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중·소용량 ESS를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해 시장 확대를 꾀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PCS 제조기업 C사는 “현재 산업부에서도 ESS 관련 지원책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중국이 성장세가 무서운 가운데 우리 또한 시장을 키우기 위한 정책이 간절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