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급 활성화와 수출 산업화에 '찬물'
명확한 원인 규명, 재발 방지책 마련 시급

9월 한 달간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가 3건이나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발생한 ESS 화재사고는 총 10건으로 늘어났다.

특히 이번에 발생한 사고 중에는 사용전검사가 의무화되기 이전에 설치된 ESS가 포함돼 있어 정부의 사후관리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9월 중 발생한 ESS 화재사고는 총 3건이다.

9월 1일 충북 영동에서 태양광발전과 연계한 6MWh규모의 ESS에서 화재가 발생해 약 4억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또 7일에는 시공 중이던 충남 태안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MWh)가, 14일에는 한전제주지역본부 내 태양광발전 연계용 ESS(0.18MWh)가 각각 화재로 소실됐다.

이로써 ESS 화재사고는 지난해 8월 고창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총 10건으로 늘어났다. 한 달에 한번 꼴로 ESS 화재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특히 제주 ESS의 경우 사용전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2014년 12월 전기사업법을 개정해 ESS에 대한 사용전검사를 의무화했기 때문에 제주 ESS는 지금까지 아무런 전기적 검사를 받지 않고 가동 중이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ESS사고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산업부는 올 6월부터 7월 사이 ESS 화재사고가 집중되자 10MWh 규모 이상 ESS가 설치된 5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민·관합동 실태조사를 실시했으나 지금까지 아무런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ESS 화재사고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는 언론의 보도가 잇따르자 뒤늦게 배터리 표준·인증 개정을 추진 중이며, 배터리제어시스템에 대한 안전성 시험항목을 강화할 계획이라는 설명자료를 배포했을 뿐이다.

올 상반기 중 보급된 ESS는 1.8

GWh에 달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배 증가한 수치며 지난 6년간 총 보급량(1.1GWh)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는 ESS가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프로젝트를 견인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세계 ESS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LG화학,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제조기업들이 관련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앞으로 대표적인 수출산업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정부가 ESS 화재사고에 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에 속도를 내야하는 이유다.

ESS업계 관계자는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ESS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화재사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 주도로 명확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