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도적 개선과 다양한 표준화 추진"
통일시대 대비, 해외시장 선점 위해 반드시 선행돼야

“산업 활성화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법과 제도적 측면의 개선, 규정이나 지침의 표준화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통일시대를 대비하고 해외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발빠른 움직임이 절실합니다.”

한국스마트그리드위원회 내 마이크로그리드위원장을 맡은 신용학 LS산전 담당은 위원회 활동방향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신 위원장은 “현재 서울대학교에 구축 중인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동일하게 캘리포니아에 적용할 경우 국내는 투자자본수익률(ROI)이 10년, 미국은 5년으로 나타났다”며 “국내에서 마이크로그리드사업이 활성화하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생산한 전력을 한전 계통에 직접 연결해야만 혜택을 주고 있다. 하지만 미국 등 다른 나라의 경우 신재생발전 규모에 따라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며 법·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돼야만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게 신 위원장의 설명이다. 또 그는 “기술적인 측면의 신뢰도는 어느 정도 이뤄졌다고 본다”며 “앞으로는 다양한 측면에서 표준화작업이 이뤄져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 위원장은 “남북 화해무드가 조성되면서 전력 인프라 조성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면서 “열악한 북한의 전력계통을 감안할 때 마이크로그리드는 매우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1인당 전력소비량은 남한의 6.7% 수준입니다. 전력난 타개를 위해서는 발전소, 송전선로 등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데 이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그리드가 새로운 전력망 구축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 조성은 상대적으로 시간이 짧고 비용도 덜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비용 부담에 대한 국민적 반발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 위원장은 “북한지역에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우선 중요한 부하들을 셀 단위 마이크로그리드로 구성하고 장기적으로는 망을 구축해 이러한 셀들을 연결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올해 캘리포이나 주에서는 800억원 규모의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사업이 진행 예정”이라며 “우리나라도 빠른 시일내에 정책적인 방향을 잡고 친환경에너지자립섬 등 중단된 사업을 즉시 재검토해야만 해외시장 개척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는 대한전기학회 내 마이크로그리드연구회가 유일한 구심점이었습니다. 사실 연구회는 기술적인 관점에서 산업을 바라봤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마이크로그리드위원회가 마련된 만큼 이제는 산업계의 시각에서 적극적으로 정책 제안을 해나가고자 합니다. 앞으로의 활동을 지켜봐 주십시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