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산업 해외 진출 위해선 국산 제품 실적 확보
가격 경쟁력 향상 내수시장 육성투트랙 전략 필요

경남 사천에서 만난 류지윤 유니슨 대표는 “서울 사무소에 주로 있지만 요새는 4.2MW 발전기 인증 절차를 살피느라 사천에 자주 온다”며 웃어보였다. 그는 정부의 풍력발전 양성 정책이 업계에 청신호가 된 것만큼은 확실하지만 막상 실제 설치할 만한 장소를 찾는 일이나 규제 해결에서 어려움을 겪는 건 사실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아직 완전하게 풍력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보기엔 부족한 것들이 있죠. 시장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았고요. 정부에서 시장 연속성 확보와 예상 가능한 정책, 절차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류 대표는 지난 2015, 2016년 풍력발전 설비가 이전에 비해 원활히 공급될 수 있었던 건 정부의 정책 덕분이었다고 회고했다. 환경으로 인한 규제가 최근처럼 이슈가 됐지만, 정부의 과감한 규제 개선 정책과 선별적인 인허가 작업으로 풍력신규 설비의 연 시장 규모가 200MW에 달했다는 얘기다.

“풍력설비를 이렇게 (직접) 만드는 곳은 저희 회사밖에 없습니다. 국내 제품이어도 효율과 성능 면에서 뒤지지 않죠. 다만 1년 생산량이 수천기에 달하는 해외사들과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는 것을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류 사장은 이를 극복하고 해외 업체들 사이에서 국내 풍력 산업을 육성하려면 국가적인 지원이 일정기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2~3년간 해외 풍력시장은 빠르게 변했다. 제조업체가 풍력프로젝트에 참여하려면 경매(Auction)에서 입찰에 참여하거나 금융조달을 보장해야 하는 식으로 요건이 까다로워졌다. 해외대형사들과 비교할 때 실적이 적은 기업들은 해외 수출의 장벽이 더 높아진 것이다.

“터빈의 공급이나 EPC 외에도 금융 지원이 필수적인 사업 지역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도 국내 뿐 아니라 해외로의 풍력 산업의 진출을 꾀하려면 국산 제품의 실적 확보·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한 내수 시장 육성과 더불어 해외 시장을 위한 투트랙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습니다.”

중소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해선 한전 등 전력회사와 국내 터빈 공급사가 협력해 동반 진출을 꾀하거나 민간 주도의 시장진입을 지원할 경우 국내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 금융이 필요하다는 게 류 사장의 전언이다.

“정부 정책의 큰 그림,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은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각국의 정책을 보더라도 무리한 계획은 아니지요. 다만 정부 정책의 세부적인 각론이 더해져 시장 상황과 밀접한 정책이 추진될 필요는 있습니다. 국가 균형 발전의 측면에서 환경과 개발의 절충점을 찾고 어떤 정책이 국민 편익을 증대시킬지를 결정할 때죠. 기업 입장에서도 세계 시장과 비견해도 차이가 없는 기술개발과 성능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하고요.”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