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제품비율도 48% 넘어서…외산제품과 격차 좁혀
올해도 성장 예상되지만 수용성 문제 가장 큰 걸림돌 꼽혀

국내 풍력발전설비 누적 설치량이 1GW를 돌파했다. 지난 1998년 제주 행원에 국내 1호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이래 18년 만이다. 그간 막혀있었던 환경부의 규제와 최근 신재생에너지 보급·활성화의 가장 큰 걸림돌로 여겨지고 있는 주민수용성 문제를 극복하고 이뤄낸 성과라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풍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4년까지 누적 보급량이 600MW를 밑돌았던 풍력발전설비는 환경부가 풍력발전 입지를 대폭 완화하며 2015년과 2016년 잇따라 연간 200MW 이상이 설치됐다. 2016년 12월 현재 총 14개소 96기 200.75MW의 대형풍력발전기가 신규로 설치돼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현재 계통에 연계돼 운영 중인 100kW 이상 상업용 발전단지는 중대형풍력 80개소 531기 총 1031.22MW, 소형풍력 3개소 20기 0.2MW 등 총 83개소 551기, 1031.42MW로 집계됐다. 국내 전체 발전설비용량의 1%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풍황자원이 풍부한 제주도에 22개소 123기 272.16MW의 풍력발전설비가 설치돼 가장 많았고 강원도(16개소 136기 250.9MW), 경상북도(10개소 101기 197.66MW), 전라남도(15개소 89기 186.30MW) 등이 뒤를 이었다.

한때 문제로 지적됐던 국산 제품 보급률도 향상됐다. 2016년 신규 설치량 200.75MW 중 국산 제품은 148.85MW로 74.15%, 외산 제품은 51.9MW로 25.85%를 차지했다. 누적 설치량을 기준으로 했을때도 국산 제품 비율은 48%를 넘어서 외산 제품과 격차를 상당부분 좁혔다.

풍력산업협회 관계자는 “국내 누적 풍력발전기 설치 제조업체 상위 10개사 중 6개 기업이 국내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GW 돌파의 여세를 몰아 올해도 연간 최대 보급 기록 경신이 기대된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보급·활성화 드라이브 덕분이다. 특히 REC+SMP 20년 장기계약 제도 덕분에 투자의 불확실성도 상당 부문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10일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승인을 받은 풍력발전 인허가물량은 이미 1GW를 넘어섰다. 이 가운데 약 400MW에 육박하는 물량이 환경영향평가 등 구체적인 사업에 이미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설치됐던 224MW 물량의 경신이 가능할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2011년 시작돼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었던 서남해 해상풍력이 오는 3월말 착공을 시작하는 것도 고무적이다.

걸림돌도 남는다. 전기산업 인허가가 건설로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부터 5월까지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풍력사업은 총 1.6GW 규모였지만 각종 규제와 주민 반대에 부딪혀 실제 건설된 물량은 200MW 수준이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의 입지 허가는 주민 수용성 문제가 맞물려 있고 송전선로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한 환경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도 관측된다.

이임택 풍력산업협회 회장은 “제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르면 2029년까지 약 8GW의 풍력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목표”라며 “전국에서 현재 계획 혹은 진행 중인 6.1GW의 육상풍력발전사업(2016년 12월 전기사업허가 기준)과 3.3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사업들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민원 및 인허가 해결 등 정부의 적극적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