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산업부의 정책 초점은 수출회복과 신산업 창출에 맞춰져 있다.

세계 경제가 불확실성에 놓여 있지만 수출증가율을 플러스로 전환하고, 구조조정 가속화와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통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게 올해 산업부 업무계획의 골자다.

이런 목표를 반영하듯 산업부는 올해 수출목표를 전년(-5.9%) 대비 2.9% 증가한 5100억 달러로 설정했다.

소비재(화장품, 의약 등)와 유망품목(시스템반도체, OLED, SSD, 태양광, 이차전지) 중심으로 수출회복을 추진하고, 수출 우수기업에 대한 R&D 우선지원, ‘수출애로대책반’을 구성해 주력제품의 수출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또 해외시장에서 경쟁할 플레이어들을 육성하는 차원에서 3만5000개의 내수기업을 수출기업화하는 작업을 확대하고, 총 229조원 규모의 무역금융도 지원키로 했다.

해외무대 확보를 위해서도 성장잠재력이 높은 전략시장 중심으로 FTA 네트워크를 확대·개선하는 한편 지역별로 특성화된 진출 전략도 추진할 방침이다.

다만 미국 트럼프 정부의 출범, 중국의 비관세장벽 강화, 유럽의 브렉시트 등 국제통상과 관련된 굵직한 현안들이 올해 수출목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양자·다자 차원의 대응강화와 ‘신통상로드맵’ 보완 등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해 나가겠다는 게 산업부의 구상이다.

산업부는 또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4차 산업혁명에 수월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업도 추진한다.

우선 신속한 구조조정과 제조혁신을 위해 조선, 철강, 석유화학업종의 구조조정 이행현황을 매월 점검하고, 업황에 따라 보완대책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조선업의 경우 관련 업체가 기계·에너지 등의 연관업종으로 신속히 전환하도록 2400억원을 집중 지원하고, 발전기자재, 해상풍력, 레저선박 등 대체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1조7000억원, 2020년까지 6조5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올해 안으로 2200여개의 스마트공장을 추가로 보급하고,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에너지신산업과 접목해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클린에너지 스마트공장’ 500개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R&D·인력 등을 집중 지원해 스마트공장 기반산업을 육성하는 등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또 에너지신산업, 전기·자율차, 스마트·친환경 선박, IoT가전, 항공·드론, 로봇, 바이오 헬스, 프리미엄 소비재, 첨단 신소재, AR·VR,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12대 신산업별로 ▲규제개선 ▲집중지원 ▲융합플랫폼 구축 ▲초기시장 창출 등 4대 정책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특히 규제개선과 인센티브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반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갖춰나가는 한편, ESS의 요금할인 특례와 신수요처 발굴도 추진키로 했다.

올해 안에 스마트미터 450만기를 설치하는 등 본래 목표보다 2년 빠른 2020년까지 2200만 전기 소비자 전체에 스마트미터 보급을 완료할 계획이며, 청정화력 등 고효율·친환경 발전기술 개발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융합 신제품을 중심으로 안전기준과 안전관리 전략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는 등 안전관리체계도 강화한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성과 중심의 맞춤형 지원책도 시행된다.

산업부는 이의 일환으로 3000개의 중소기업 우수 혁신제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이를 공영홈쇼핑, 민간 유통채널 등과 연계해 판매촉진 기회를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산·학·연 협력을 위해서도 총 9479억원을 지원하는 한편, 지난해 97조원이었던 중소기업 정책금융을 103조원까지 늘리고 정책자금 금리를 2.47%에서 2.3%로 인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소상공인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해 창업-성장-재기 전 주기에 걸쳐 1조6200억원 가량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확한 상권정보를 제공해 과당경쟁을 완화하고, 전문기술 교육 확대, 경영 컨설팅 제공, 협동조합 활성화 및 해외진출 등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